교상과 응급처치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55.61)
교상과 응급처치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안력 과장


Q1. 요즘 같은 화창한 날씨에 가벼운 차림으로 야외활동을 하다 보면 아무래도 교상에 의한 환자가 자주 발생할 듯 한데요. 교상이란 무엇이며, 주로 어떤 종류의 환자가 발생하나요?
A1.  교상이란 사람을 포함하여 동물의 치아에 물리거나, 치아에 의해 발생한 피부에 직접적 손상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교상에 의한 상처는 겉보기에 작은 상처라도 이빨이 찍힌 상처라 좁고 깊은 상처가 생길 수 있으므로 근육, 인대, 혈관 및 신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교상은 크게 동물에 물린 경우와, 벌이나 벌레에 쏘이거나 물린 경우, 뱀에게 물렸을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동물에게 물린 경우 대부분에서 심각한 출혈은 발생하지 않으나, 2차감염, 인대, 근육 또는 혈관, 신경 등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동물교상은 개에 의해 발생하며, 그 외 고양이, 가축, 그리고 야생동물에 의해 발생합니다. 개의 침에는 약 60여종의 세균이 존재하여 광견병 같은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광견병의 발생률은 낮은 편인데, 병명과 달리 광견병의 발생은 일반적으로 애완용 개보다는 가축인 소, 돼지와 야생동물인 너구리, 박쥐, 야생개 등에 물렸을 경우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합니다. 개나 야생동물에 의해 물린 경우 동물을 생포하려는 행동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으므로 피하되, 물린 장소를 기억하여 의료진에게 알려주도록 합니다. 만약 사람을 물었던 동물이 사는 곳을 아는 경우나 생포한 경우 동물을 죽이지 않도록 합니다. 사람을 물었던 동물에게서 10일내 광견병 소견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광견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동물이 죽었다면 냉장상태로 병원으로 가져오도록 하고, 동물의 침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특히 동물의 뇌에서 광견병균을 추출해야 하기 때문에 뇌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합니다.

Q2. 요즘 등산 많이 가시는데 등산객들의 경우 벌에 쏘이거나 뱀에게 물리는 경우도 있겠죠?
A2. 벌에 쏘일 경우 초기 증상으로는 쏘인 부위의 가려움증, 통증 및 붓는 등의 국소증상이 대부분입니다. 가장 심각한 증상은 벌독에 의해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는 전신적 알레르기 반응인데 온몸이 붓고, 가렵고, 피부가 창백해지고 식은땀이 나 는 증세, 불안감, 두통, 어지럼증, 구토, 복부통증, 호흡곤란, 경련, 의식저하 등의 쇼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벌 독소에 노출된 뒤 수분에서 1시간 이내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전신적 알레르기 반응은 약 5% 정도에서 발생하지만 매우 위독할 수 있으며, 전신적 과민반응에 의한 사망 원인 중 60-80%는 기도가 부어 숨을 쉴 수 없어 사망하는 질식사이고, 두 번째로 흔한 사망원인은 혈관확장에 의한 저혈압이 발생하는 쇼크사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전신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으로 이송하여야 합니다.
뱀은 크게 독사와 독이 없는 구렁이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독사는 살모사, 까치독사, 불독사의 세 종류로 알려져 있으며,머리모양이 삼각형이고, 두개의 이빨자국을 남깁니다. 구렁이는 이빨이 많고 머리모양이 비교적 둥근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뱀 독소는 크게 신경계를 마비시켜 호흡곤란 등으로 단시간에 사망시킬 수 있는 신경독소 (주로 코브라, 외국에서 흔함)와 우리나라 독사처럼 혈액과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는 혈액독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혈액독소를 가진 독사에게 물린 경우 급사를 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므로, 초기에 적절한 응급처치와 치료를 받는 경우 생존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3. 그럼 응급처치법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해 주십시오.
A3.  응급처치법에 대해 바로 설명.



(※ 본 자료는 2008. 5. 14(수) 17시 37분 CBS 기독교울산방송(100.3 MHZ)의 라디오 프로그램 울산투데이의 "울산광역시의사회와 함께하는 건강소식" 코너에서 방송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829 개, 페이지 12
제목 작성자
등산과 피부관리 H 울산의사회
손목터널 증후군 H 울산의사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H 울산의사회
각막 굴절 교정 수술 H 울산의사회
청춘으로의 여행 – 회춘시술 H 울산의사회
교상과 응급처치 H 울산의사회
전정신경염 H 울산의사회
여성 자궁근종 치료와 예방 H 울산의사회
뇌졸중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알레르기성 비염알레르기성 비염 H 울산의사회
양성발작성 체위변환성 어지러움증 H 울산의사회
각막 굴절 교정 수술 H 울산의사회
자궁근종 H 울산의사회
잃어버린 젊음 – 탈모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남성들도 30대 이후 호르몬 저하로 갱년기증상 H 울산의사회
캡슐 내시경 H 울산의사회
메니에르 병 H 울산의사회
안구 건조증 H 울산의사회
대장용종 H 울산의사회
노출의 계절 여름미인을 위한 준비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