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과 심근경색 예방과 치료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55.93)
협심증과 심근경색 예방과 치료


 
                                                                                  -  울산광역시의사회 동강병원 심장내과 김형준




Q1. 심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인데요. 심장질환인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이야기하기 전에 우선 심장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A1. 네 ~ 심장은 300g정도로 작은 장기이나 몸 전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함유한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장기이며 하루에도 10만번이상 수축과 이완운동을 반복하는 아주 부지런한 장기입니다. 이 심장근육이 수축과 이완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심근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필요한데 이를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관상동맥은 크게 두 개의 가지가 있어 우관상동맥과 좌관상동맥으로 나눠며 좌측 다시 두갈래로 나눠게 됩니다. 이혈관에 동맥경화가 생겨 혈관이 좁아지면 협심증, 완전히 막히게 되면 심근경색이 발생하며 종종 심장 돌연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Q2. 네, 그렇다면 갑자기 심장 기능에 이상을 일으켜 사망까지 이르게 하는 “심장 돌연사”는 어떤 질환들이 원인이 되나요?
A2. 네, 돌연사라 함은 의학적으로 외상 같은 뚜렷한 이유 없이 증상이 발생하여 1시간이내에 사망 하는 것을 돌연사라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돌연사를 흔히 과로사 또는 뇌출혈 등에서 그 원인을 찾으려 하지만, 미국에서 시행한 부검결과를 요약해 보면 약 80%가 관상동맥 경화증(관상동맥질환)이 그 원인입니다. 

Q3. 심혈관 질환의 주원인 동맥경화는 어떤 질환인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A3. 동맥경화증이란  피 속에 기름이 증가하면 혈관벽에 조금씩 쌓여서 혈관 벽이 두꺼워지고 동맥내피세포의 균열 및 염증 반응이 일어나 혈관벽이 더욱더 두꺼워지며 죽종이라는 기름덩어리가 자라서 혈관이 좁아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Q4. 그렇다면, 동맥경화증의 혈관이 두꺼워지고 좁아지는 동안 본인이 느끼는 증상이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A4. 네, 병원에서 직접 환자 진료를 하다보면 혈관이 거의 막히거나 동맥경화반이 파열되기 전까지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따라서, 동맥경화증의 경우 통증이 시작 된 후 즉시 병원에 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동맥경화증으로 혈관이 75%정도 막히기 전까진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고 격심한 운동이나 심한 스트레스 등으로 동맥경화반이 파열될 경우 심근경색 등으로 돌연사 할 수 있어 각별히 주의를 요합니다.

Q5. 돌연사를 유발하는 동맥경화증의 원인(위험인자)이 궁금한데요.
A5. 네. 원인으로는 고지혈증이라고 알려진 고 콜레스테롤증, 흡연, 고혈압, 당뇨병 그 외에도 가족력이라든가, 비만 등이 있는데  앞서 말한 세 가지, 고지혈증과 흡연, 고혈압이 중요하다. 특히 심혈관계사망률과의 관계를 보면 흡연은 1.6배, 고혈압은 3배, 고지혈증은 4배이며 복합시 16배나 증가 하게 됩니다.

Q6. 흔히, 가슴이 답답하고 따끔거리는 증상을 자주 호소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런 경우 동맥경화증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겠네요?
A6. 네, 그렇습니다. 관상동맥의 동맥경화로 인한 협심증의 증상인데요. 협심증이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요인으로 인해 좁아져 가슴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를 말하며, 심장이 조인다고 해서 협심증이라 합니다.

Q7. 그럼, 심장 혈관이 점점 좁아지면 당연히 증상이 있을 것 같은데, 협심증은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A7. 협심증은 그 종류에 따라 증상도 달라지게 됩니다.
크게 3가지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 그리고 변이형 협심증으로 나눠 이야기 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동강병원 심장내과 김형준 전문의와 함께 협심증의 종류까지 알아봤구요,  다음 주 이시간에 협심증의 종류별 자세한 증상과 치료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 자료는 2008. 2. 18(월) 17시 37분 CBS 기독교울산방송(100.3 MHZ)의 라디오 프로그램 울산투데이의 "울산광역시의사회와 함께하는 건강소식" 코너에서 방송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13
제목 작성자
건강생활 Q&A-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증상과 진단 및 치료 H 울산의사회
장마철 피부관리 H 울산의사회
음성언어장애 H 울산의사회
편도 주위 농양 H 울산의사회
로타 바이러스 장염 H 울산의사회
알아두면 유용한 의료상식 / 생리통 H 울산의사회
무릎의 인공관절술에 대해 H 울산의사회
소화성 궤양의 치료 H 울산의사회
암 잡는 첨단의료기 ‘PET-CT' H 울산의사회
제모의 모든 것 H 울산의사회
축농증이란 H 울산의사회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들 H 울산의사회
급성 모세기관지염 H 울산의사회
여성 자궁경부암 예방과 치료 H 울산의사회
AHDH(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H 울산의사회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H 울산의사회
또 다른 성격의 분류법, A,B,C형 성격 H 울산의사회
뇌졸증 H 울산의사회
제8회 울산시민건강강좌 H 울산의사회
건강생활 Q&A-뇌졸중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