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의 정신건강 | |||||
---|---|---|---|---|---|
작성자 | 울산의사회 (121.♡.247.184) | 작성일 | 09-04-20 10:09 | ||
유아기의 정신건강
마인드 닥터의원 한치호 원장 Q1. 이 시기가 갖는 시기적 의미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1. ‘유아’라 함은 출생 후부터 아동기 초기까지(0-8세)의 어린이를 일컫습니다. 이 시기의 발달 과업은 걷기, 딱딱한 음식 먹기, 의사소통하기, 대소변 가리기, 성별의 차이알기, 사물의 개념형성, 읽기의 준비, 선악의 구별 등이 있으며 과업을 성공적으로 성취하면 그 개인은 행복하게 되고 후속 과제도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게 되지만 실패하면 불행하게 되고 후속과제 수행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유아기초기에는 애착형성을 통하여 아이가 삶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가 형성이 잘 되어야 합니다. 후기에는 자율성과 주도성이 형성되어 분리개체화가 잘 이뤄져야 합니다. 유아가 심리적 발달을 하는 데 중요하게 거론 되는 것들로는 젖먹이기와 젖떼기, 대소변 훈련, 가정의 심리적 환경 등이 있습니다. Q2. 이 시기 정신적 건강에서 중요한 부분들은 어떤 것들입니까? A2. 유아초기에는 수유와 대소변훈련이 중요합니다. 프로이트나 에릭슨과 같은 정신분석학자들은 이 시기가 구강기이므로 어머니의 보살핌 속에 구강의 만족을 얻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어머니는 아이를 사랑스럽게 안고 심장박동소리를 듣게 하며 행복하게 젖을 빨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야지, 그렇지 못하여 추구하는 쾌감을 얻지 못하거나 과잉충족을 하게 되면 성격적 결함(구강적 성격)으로 나타날 수 있지요. 2-3세경에 이루어지는 대소변 훈련기에는 유아 스스로 소변을 통제하거나 때로는 대변의 의사표시를 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발적인 행동에 칭찬을 받거나 신뢰를 받으면 용기가 생깁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엄격한 배변훈련을 받거나 사소한 실수에 대한 벌을 받게 되면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회의감을 갖게 되고 성격적 결함(항문적 성격)을 갖게 될 수도 있습니다. 대소변 훈련과 성격형성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으니 즐겁고 안정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하여야 합니다. Q3.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란 무엇을 말합니까? A3. 유아의 심리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방식을 말하는데요, 육아방식과 유아의 인성특성 간의 관계는 4가지가 있습니다. ◊수용적 육아형: 부모가 자녀와 정서적으로 밀착되어 자애로운 태도로 대하며,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인격적 존재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유아는 자기존중감과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되며 책임감과 사교성과 협동심이 생기고 정서적으로 안정된다. ◊익애적 육아형: 부모가 자녀를 애지중지하여 지나치게 관심을 표현하고 성장발달과는 상관없이 과보호하여 부모가 모든 것을 대신해 준다. 유아는 독립심과 자율성을 잃게 되어 의존적인 태도와 신경질적인 성격이 형성되기 쉽다. 또 수줍고 불안하고 주의가 산만해지기도 한다. 너무 허용적이면 순종하지 않고 책임감도 길러지지 않고 집에서는 폭군이 되나 밖에서는 자신감이 없는 아이가 될 가능성이 있다. ◊지배적 육아형: 엄격한 부모이다. 지나치게 통제하고 사랑을 절제하면서 그것이 유아를 위한 것이라고 합리화 한다. 자녀에게 증오를 보이거나 작은 잘못에도 가혹하게 처벌하기도 한다. 소위 독재형, 전제형이라고도 한다. 지배적으로 양육된 유아는 겸손하고 조심성 있고 정직하고 수줍고 온순하고 순종적이다. 그러나 열등감을 갖게 되고 확신을 갖지 못하며 타인에게 순종하고 수동적으로 행동하며 쉽게 지배를 당한다. ◊과잉기대형: 부모는 어떤 식으로든 자녀에게 기대를 갖고 있으며 자신의 보상심리에 의하여 지나친 기대와 포부수준을 갖게 된다. 이러한 기대는 자녀에게는 압력으로 느껴지게 된다. 부모의 지나친 기대에 맞춰 높은 성취수준을 나타내지 못할 때 자녀는 열등감이 생기고 스스로 화를 낸다. 그러나 부모의 포부나 기대가 자녀의 능력에 맞게 적절히 높을 때에는 경쟁에서 이기려는 욕망을 갖게 되어 성취지향성을 보인다. 성취를 보이지 못할 때 그들은 환상이나 백일몽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무엇이든 정해진 기준에 따라야 되고 이를 요구 당하기 때문에 개성이 없는 아이가 되기 쉽고 독특한 취미나 다양한 관심과 흥미를 발달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Q4. 이 시기에 보일수 있는 정신심리적 질환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A4. 이러한 심리적 발달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어떤 형태로든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모자의 애착장애, 과잉불안증, 의사소통장애, 유뇨증, 적대적반항장애, 배설장애, 주의력결핍장애 등입니다. 내 아이가 발육 뿐 아니라 심리적 발달을 제 시기에 맞춰서 마음도 잘 성장하는지 눈여겨 봐야 겠습니다. 부모님은 훈육자이면서도 선생님, 치료자, 관찰자의 역할들도 해야하겠습니다. (※ 본 자료는 2009. 4. 17(금)17시 37분 CBS 기독교울산방송(100.3 MHZ)의 라디오 프로그램 울산투데이의 "울산광역시의사회와 함께하는 건강소식" 코너에서 방송 된 건입니다.)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