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생활 Q&A-외상성 뇌손상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47.184)

■건강생활 Q&A-외상성 뇌손상
다양한 재활프로그램 필요

Q. 외상성 뇌손상의 원인은.
A. 현대 사회로 발전하면서 교통사고, 산업 재해, 스포츠 손상 등 각종 사고가 증가하면서 외상성 뇌손상 환자(Traumatic Brain Injury, TBI)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교통사고는 척수 손상과 더불어 뇌손상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교통사고로 인한 대부분의 외상성 뇌손상은 폐쇄성 뇌손상이며 이 경우 뇌는 다발성 또는 미만성(diffuse) 손상을 받게 되므로 다양한 신체적, 신경행동학적 장애를 나타내게 돼 이 환자들의 재활 치료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Q. 뇌손상 정도의 분류는.
A.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손상 정도는 주로 충격의 가속(accele ration)과 감속(deceleration)에 의한 전단력(shear force)의 정도에 직접 관련이 있으며 회전력 등에 의한 손상이 최종적인 손상 정도에 부수적으로 기여합니다. 임상적으로는 경도, 중등도, 중증 및 식물인간 상태의 4단계 손상군으로 분류합니다. 먼저 경도(mild)의 뇌손상은 가장 흔한 뇌손상으로 과거에는 뇌진탕후 증후군(postconcussion syndrome)이라 불렸던 것으로 뇌손상을 받을 때 짧은 시간의 의식 소실이 있으며 계속적인 국소적 신경학적 결함은 없으나 미미한 신경 심리학적, 행동적 결함이 있을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과거에는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일부의 환자에서 신경해부학적 병변이 발생하고 영구적인 손상이 지속된다고 알려져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특징적 증상으로는 두통, 현훈, 집중력의 저하, 기억상실, 피로 및 자극 과민성(irritability)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둘째로 중증(severe)의 경우를 먼저 알아야 하는데 중등도(moderate)는 경도와 중증의 중간이기 때문입니다. 중증의 경우는 의식은 회복했으나 명백한 장애를 갖게 되는 환자들로 최소한 6시간 이상의 의식 소실이 있었던 환자를 말하며 이 환자군은 전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10%를 차지하며 적극적인 재활 치료로 많은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중등도의 경우는 경도의 외상성 뇌손상 환자군과 중증의 환자군의 중간에 해당하는 환자군을 의미하며, 외상 후 기억상실(post-trauma amnesia)이 1시간에서 24시간 사이의 환자들이 해당한다고 정의합니다.
이 외 식물인간 상태(persistent vegetative state)가 있는데 이는 뇌손상 정도가 심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식물인간 상태가 된 환자들로 주위 환경을 알지 못하며 말을 하거나 수의적 운동을 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수면-각성, 하품, 입맛 다시기, 동통 자극에 대한 회피 반응 및 기타 하부 뇌조직에 의한 반응들은 볼 수 있는 단계를 말합니다.


Q.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A.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에서 중요한 것은 정확한 평가를 해야 한다는 것이며 또한 절대 서두르지 않고 환자의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하며 경련 등 합병증 유무를 잘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는 내과적, 신경학적 문제 및 비뇨기과적 문제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의 치료가 포함되며 그 외 신체 기능, 인지 기능, 행동 심리학적 및 사회적 기능 장애의 평가와 치료가 포함돼야 합니다. 따라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에는 많은 경험이 있는 의사, 치료사, 임상 심리사, 사회사업가 등의 참여가 필요하며 병원에서의 재활은 첫 단계의 재활 치료 과정이며 퇴원 후에도 여러 가지 단계에서 재활 치료가 계속돼야 합니다.

(※ 본 자료는 울산매일 2010. 6. 17(목) 16면에 울산광역시의사회 제공으로 게재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829 개, 페이지 18
제목 작성자
알아두면 유용한 의료상식 / 치매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비립종, 한관종, 쥐젖 H 울산의사회
땀과의 전쟁 액취증/다한증 H 울산의사회
벗어나지 못하는 반복, ‘강박증’ H 울산의사회
무균성 뇌수막염 H 울산의사회
여성 자궁근종 치료와 예방 H 울산의사회
임신과 약물복용 H 울산의사회
■ 건강생활 Q&A-외상성 뇌손상 H 울산의사회
환절기 코막힘과 콧물 H 울산의사회
기침과 결핵 H 울산의사회
사시 H 울산의사회
인두신경증 H 울산의사회
남성 전립선 암 치료와 예방 H 울산의사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H 울산의사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H 울산의사회
후두암 H 울산의사회
손목터널 증후군 H 울산의사회
녹내장의 치료 및 최신 지견 H 울산의사회
다크서클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지루성 피부염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