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망막증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55.160)
당뇨망막증



                                                                                          - 울산광역시의사회 동강병원 안과 윤성욱




오늘은 당뇨망막증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당뇨병의 경우는 오래되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기게 되는데 당뇨병 환자의 약 30%에서 당뇨망막병증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실명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윤성욱 전문의 연결해서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Q1. 먼저 당뇨망막증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A1. 당뇨와 관련된 여러 요소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망막의 모세혈관의 폐쇄와 미세혈관류, 망막 출혈, 삼출물, 신생혈관, 망막박리등의 특징적인 변화를 초래하면서 시력에 영향을 주게되는 망막의 혈관질환을 얘기 합니다.

Q2. 당뇨망막병증도 당뇨병이 유발하는 무서운 질환 중의 하나가 되겠는데요.
그렇다면 이 병은 당뇨병을 앓은 지 얼마가 지나면 나타나나요?
A2. 장기간 지속된 고혈당이 당뇨망막병증을 일으키는 주요인자입니다.
제1형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20년 이내에 거의 100%에서 당뇨 망박병증이 생기며
제2형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20년 이내에 60%이상에서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합니다.
시간차이일 뿐이지 당뇨병이 있으면 거의 모든 환자에서 나타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Q3. 어떤 증상이 있죠?
A3. 초기 당뇨 망막증일때는 환자분이 느끼는 증상이 없고, 망막증이 진행하면 시력감소, 시야 및 색각장애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 합니다. 

Q4.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당뇨 환자들은 정기적 검진이 필요하겠군요?
A4. 제1형 당뇨: 진단 후 3년 이내 받으시고,  제2형 당뇨: 진단 당시 망막증 검사받으시고 안저검사상 정상이면 매년 한번씩 검사하고, 일단 망막증이 발견되면 경중에 따라 2 -3개월 마다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Q5. 당뇨망막증의 종류?
A5. 당뇨망막병증을 안저 소견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병의 치료를 달리하며 시력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허혈지표로는  미세혈관류, 망막출혈, 경성삼출물, 면화반, 망막혈관내미세혈관이상, 염주정맥등에 따라 분류 됩니다.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가벼운, 중증도, 심한, 매우심한 망막증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가벼운, 중증도, 고위험, 진행된 망막증으로 분류 됩니다.

오늘은 간단히 당뇨망막증에 대해서 알아봤구요, 다음 시간에 치료방법과 예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 자료는 2007. 10. 9(화) 17시 45분 CBS 기독교울산방송(100.3 MHZ)의 라디오 프로그램 울산투데이의 "울산광역시의사회와 함께하는 건강소식" 코너에서 방송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18
제목 작성자
자궁근종 H 울산의사회
골반 내 염증성 질환 (골반염) H 울산의사회
요로결석 H 울산의사회
탈모 H 울산의사회
허리디스크 H 울산의사회
수근관 증후군(손목 터널 증후군) H 울산의사회
요통 H 울산의사회
사시 H 울산의사회
당뇨망막증 H 울산의사회
치매 H 울산의사회
소화성 궤양의 치료 H 울산의사회
소아질환과 예방 H 울산의사회
사시 H 울산의사회
직업병과 직업관련성질환 H 울산의사회
눈물길 질환 H 울산의사회
남성갱년기 H 울산의사회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H 울산의사회
당뇨망막증 H 울산의사회
로타 바이러스 장염 H 울산의사회
연령 관련 황반 변성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