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피부로 ‘만능세포’ 배양 성공
작성자 이복근 (211.♡.20.237)
200711220115.jpg

美-日 연구팀 발표… 줄기세포 윤리논쟁 해소

일본과 미국의 연구팀이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갖가지 장기와 조직 세포로 성장하는 능력을 가진 ‘만능세포(iPS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일본 교토(京都)대 야마나카 신야(山中伸미) 교수 연구팀은 30대 백인 여성의 얼굴에서 채취한 피부세포에 바이러스를 이용해 4가지 유전자를 집어넣고 한 달간 배양한 결과 인간줄기세포와 같은 기능을 가진 세포가 탄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 과학잡지 ‘셀’ 인터넷판에 21일 게재됐다.


미국 위스콘신대 제임스 톰슨 교수팀도 아기의 피부에서 얻은 세포를 이용해 일본 연구팀과 같은 ‘만능세포’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으며 연구 결과는 21일 미 과학잡지 ‘사이언스’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배아줄기(ES) 세포와는 달리 배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윤리적 비판을 피할 수 있다. 6년 전 인간배아세포 연구를 반대했던 미 백악관이 이번 연구결과를 환영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배아에 비해 많은 양의 ‘만능세포’를 얻을 수 있어 줄기세포 연구에서 획기적인 진전으로 평가된다.


특히 환자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만능세포를 이용해 이식에 필요한 세포를 배양하면 거부반응 없는 세포나 다른 장기를 구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다.


양국 연구팀이 이번에 사용한 방법은 피부세포를 추출한 후 세포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를 주입해 세포의 염색체를 ‘재프로그래밍’한 것이 핵심이다. 즉, 이미 성장한 세포에 조작된 유전자를 주입하면 세포가 마치 배아줄기세포처럼 세포 생성 초기의 ‘만능세포’ 단계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만능세포 단계’로 되돌려진 세포는 배양을 통해 인체의 다양한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며 나아가 이식용 심장근육이나 신경, 연골 등의 조직을 얻을 수도 있다.


일본 연구진은 몇 년 이내에 이 같은 임상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전했다.


다만 양국 연구팀이 조작된 유전자를 세포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바이러스가 정상 세포를 돌연변이시켜 암을 유발할 수도 있어 이 같은 안전성 문제 해결이 과제다.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20
제목 작성자
[스포츠]울산 국제아이스링크 건립 H 이복근
기미와 색소침착 H 울산의사회
로타바이러스 백신 H 울산의사회
과민성 방광 H 울산의사회
피임과 가족계획 H 울산의사회
[노인이 행복한 울산]또다른 새벽을 맞는 황혼 … 그래서 아름답다 H 이복근
울산광역시승격 10주년기념 오페라 「사랑의 묘약」 H 이복근
[재테크광장]재테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H 이복근
시립교향악단 김홍재 상임지휘자 취임연주회 H 이복근
류마티스 관절염 H 울산의사회
환절기 피부건강 (안면홍조, 잔주름) H 울산의사회
[에코폴리스 울산]푸른울산 희망의 잎새로 번져간다 H 이복근
변비 H 울산의사회
북 결핵어린이에 따스한 손길 H 이복근
사람 피부로 ‘만능세포’ 배양 성공 H 이복근
감기 H 울산의사회
인공와우수술 아동 대상 메아리학교 말하기 대회 H 이복근
[신성미 기자의 맛있는 메신저]맥주병은 왜 갈색인가요? H 이복근
산전관리 H 울산의사회
창작발명로봇경진대회 삼신초 김규남군 등 61명 입상 H 이복근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