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 City]병적 도벽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47.184)
[Health & City]병적 도벽 
물건을 훔치고 싶은 충동조절장애
사춘기 조울증·생리 등과 연관
행동·약물·정신분석 치료가 효과




Q. 절도광 즉, 병적도벽은 정신의학에서는 어떻게 정의 하고 있나?

A. 병적 도벽은 개인적으로 필요하지도 않고 금전적인 가치 때문도 아닌데 물건을 훔치고 싶은 충동을 반복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충동조절장애를 말한다. 훔친 물건이 목적이 아니고 훔치는 행동이 일차적 목적이 돼야 진단이 된다. 직업적 도둑이 절도광으로 가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강박적 충동이 없거나 물질적인 이득의 동기를 숨기지 못한다.



Q. 절도광의 자세한 양상은?

A. 개인적으로 당장 필요치도 않은 물건을 충동적으로 훔치는데 이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상태가 반복된다. 보통 훔친 물건을 살만한 돈을 갖고 있어 훔친 물건을 남에게 주거나 훔친 장소에 다시 갖다 놓기도 한다. 미리 계획하는 것이 아니며 훔칠 기회를 노리는 일도 없고, 즉흥적이며 언제나 혼자서 저지른다.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는 훔치고 싶은 충동과 긴장이 고조되고 훔치고 나면 쾌감을 느끼고 긴장도 풀린다. 훔치다가 붙잡혀서 사회적 체면을 손상받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우울, 불안, 죄책감에 시달린다. 그러나 훔치는 행동 자체에 대해서는 후회감이나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고 느끼지 않기도 한다. 만성우울, 신경성 식욕부진증, 과식욕증, 방화광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Q. 도벽 충동의 원인은?

A.. 대개 심리적 원인이다. 무의식의 죄의식의 해소, 중요한 사람의 상실에 대한 복수, 성적 만족의 대치, 선물을 받고 싶은 욕망에 대한 부정, 중요한 관계의 결별 등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난다. 충동조절장애에서 최근 여성들이 많이 중독되는 것이 또 있는데 바로 지름신이 강림하는 경우다. 쇼퍼홀릭(shopaholic)이라는 쇼핑중독이다. 날아드는 청구서와 방에 쌓이는 필요 없는 물건들을 보면서 극도의 후회와 자책을 하지만 스트레스를 받을 때에 또 질러버리면서 다른 일은 잊어버린다.



Q. 치료는 어떻게?

A. 아동기나 사춘기때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반드시 성인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사춘기 여자아이의 경우는 훔칠 것 같지 않는 착한 아이가 조울증이 있거나 생리와 연관돼 나타나기도 한다. 언론에서도 간간이 보도되는 것처럼 유복한 가정의 중년부인이 백화점에서 충동적으로 도벽을 보이다 체포되는 경우도 있다. 치료는 행동치료, 약물치료, 정신분석 치료가 효과가 있다. 동기를 심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치료를 받으면 비교적 예후가 좋다.


(※ 본 자료는 경상일보 2009. 5. 26(화) 14면에 울산광역시의사회 제공으로 게재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28
제목 작성자
[Health & City]신경성 위장병과 과민성대장증후군 H 울산의사회
물놀이 피부관리법 H 울산의사회
식중독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기관과 식도 손상 H 울산의사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H 울산의사회
시립교향악단 제113회 정기연주회 = 봄의제전 = 공연번호 : P0002915 H 울산의사회
질환별 임신 H 울산의사회
암의 원인과 예방 H 울산의사회
“울산컵 윈드서핑 세계적 대회” H 이복근
청춘으로의 여행 – 회춘시술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병적 도벽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여름철 외국여행 앞서 전염병ㆍ식중독 대비를 H 울산의사회
녹내장 H 울산의사회
청신경 종양 H 울산의사회
2007 열린예술무대 <뒤란> H 이복근
성인 아토피 피부염 H 울산의사회
만성 중이염 H 울산의사회
대장암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성인 아토피 피부염 H 울산의사회
만성 B형간염 치료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