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55.160)
대장암



                                                                            - 울산광역시의사회 동강병원 대장항문외과 이종호




Q1. 대장암 이란?
A1. 대장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 및 에스결장, 직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장암은 이러한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말합니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입니다. 선암의 대부분은 선종이라는 양성종양, 즉 용종, 폴립등이 진행되어 발생하며, 선암 이외에도 드물게는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유암종등의 악성종양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Q2. 대장암의 원인은?
A2. 대장암의 약 5%는 명확히 유전에 의해 발생된다고 밝혀져 있으며 가족성 용종증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전체 대장암의 15~20%정도는 유전적 소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대장암은 연령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증거이며,  약 80%의 대장암이 50세 이상에서 발생합니다.
 대장암과 관련된 음식으로는 고지방, 고칼로리, 저섬유소식이 등과같이 서구화된 식생활이 발생률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10년 이상 경과된 궤양성대장염,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병력이 있는 경우 대장암의 위험성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3. 대장암의 증상은?
A3. 대장암은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갑자기 변을 보기 힘들어 지거나, 변보는 횟수가 변하는 등의 배변습관 변화, 설사, 변비 또는 배변후 변이 남은 느낌이 드는 후중기, 혈변 또는 점액변, 예전보다 가늘어진 변, 등이 대장암의 대표적인 증상이며, 복통, 체중감소 복부종물촉지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치료가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Q4. 대장암의 진단에는?
A4. 대장암의 진단방법은 대장내시경, 전산화단층촬영 즉 CT 등이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먼저 대장내시경은 불빛과 유연성 있는 튜브로 대장을 직접 보는 검사방법으로 의사가 직접 출혈 부위와 병변의 표면을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진단방법입니다. 내시경검사와 동시에 조직검사도 가능하며, 용종이 발견되는 경우 바로 제거도 가능합니다. 짧은 시간 동안만 작용하는 수면제를 정맥주사하여 환자가 자는 동안 검사를 시행하는 수면내시경을 시행하면 불편감 없이 검사할수 있습니다. 환자는 검사전날 저녁식사는 죽등으로 가볍게 식사하고 하제를 복용하여 대장 내에 남아있는 분변을 제거하여야 합니다. 작은 용종도 민감하에 발견하고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검사하는 동안 환자가 불편감을 느낄수 있고, 암등으로 대장내강이 막혀 있으면 더 이상 검사를 진행할 수 없는 단점도 있습니다.

 전산화 단층촬영은 대장암 자체의 진단, 인접장기 및 간, 림프절로의 전이여부를 규명하는데 사용됩니다. 보통의 CT 검사를 위해서는 전날 특별한 처치는 필요하지 않으며 검사당일 약 6시간 정도의 금식이 필요합니다. CT촬영을 하는 동안 환자는 정맥주사를 맞고 이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며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외에도 최근 도입된 64 체널 MDCT를 이용한 가상내시경검사는 항문을 통해 작은 튜브를 넣고 공기를 주입하여 대장을 부풀린 후 CT촬영을 하여 얇은 절편두께의 단면영상을 얻고, 여기에다 추가적인 검사없이 소프트웨어를 통한 컴퓨터 처리를 하는 것만으로 내시경으로 대장내부를 보듯이 3차원의 가상내시경 영상을 만들어 대장암 및 용종을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용종을 발견하더라도 조직검사 및 제거가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대장내시경 보다 불편감이 적고 폐쇄성 대장암의 근위부도 검사할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점차 이용이 증가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장암의 증상과 진단법까지 알아봤고, 다음주 월요일 이 시간에 이종호 전문의 다시 한 번 연결해서 대장암의 치료법과 수술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 자료는 2007. 10. 29(월) 17시 37분 CBS 기독교울산방송(100.3 MHZ)의 라디오 프로그램 울산투데이의 "울산광역시의사회와 함께하는 건강소식" 코너에서 방송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28
제목 작성자
[Health & City]신경성 위장병과 과민성대장증후군 H 울산의사회
질환별 임신 H 울산의사회
물놀이 피부관리법 H 울산의사회
청춘으로의 여행 – 회춘시술 H 울산의사회
생활 속의 건강관리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기관과 식도 손상 H 울산의사회
시립교향악단 제113회 정기연주회 = 봄의제전 = 공연번호 : P0002915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여름철 외국여행 앞서 전염병ㆍ식중독 대비를 H 울산의사회
만성 중이염 H 울산의사회
녹내장 H 울산의사회
“울산컵 윈드서핑 세계적 대회” H 이복근
식중독 H 울산의사회
성인 아토피 피부염 H 울산의사회
청신경 종양 H 울산의사회
암의 원인과 예방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병적 도벽 H 울산의사회
폐암 H 울산의사회
만성 B형간염 치료 H 울산의사회
2007 열린예술무대 <뒤란> H 이복근
건강생활 Q&A-간질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