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테미스 이야기 2
작성자 이복근 (211.♡.20.21)
20000331preimg.jpg
■여신의 알몸을 본 아크타이온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의 신 아폴론과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는 쌍둥이 남매간이다. 이 쌍둥이 남매를 두고 위 아래를 따지는 것은 소용도 의미도 없다. 세계의 거의 모든 민족신화는 일신(日神)을 월신(月神)에 앞세운다. 일신과 월신이 오누이라면 당연히 오라비는 일신이 되고 누이는 월신이 된다. 하늘로 올라가 각각 해가 되고 달이 되는 우리나라의 ‘하늘로 올라간 오누이 이야기’에서도 마찬가지다.




bul1.jpg
황도 12궁 중 처녀자리만큼 매혹적인 자리가 있을까? 그러나 처녀자리는 그만큼 이해하기 쉽지 않은 자리이기도 하다. 처녀자리는 흙의 자리에 해당하지만 달의 여신과 연관을 맺고 있어서 여성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지배하는 별이 수성인 까닭에 지성을 상징하는 공기적 특성 역시 지닌다. 이처럼 복합적인 성향을 지닌 처녀자리는 이름처럼 여성신과 관련되고 그리하여 다양한 여성의 양상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 자리의 여성은 어느 남성도 두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 만큼 강력하다.

초승달의 여신 아르테미스
처녀자리의 강력함은 사냥의 여신이자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로마에서는 다이아나라 부른다) 여신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때로 아르테미스 여신이 보여주는 면모는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분노에 차 있다. 어머니 레토를 모욕한 니오베에 대해서 그녀의 딸들을 죽임으로써 복수하였고, 우연히 그녀가 목욕하는 모습을 엿보았던 악타이온을 사슴으로 변하게 하여 자신의 사냥개들에 의해 찢겨 죽도록 하였다. 그 뿐인가? 직조술에 능한 한 여인이 아르테미스와 경쟁하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을 때, 교만의 벌로 그 여인을 거미로 만들어버렸다. 아르테미스 여신에게서 볼 수 있듯이 처녀자리 사람들의 자존심은 너무도 강해서, 그들은 세상 일에 쉽게 분노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녀들의 복수는 잔인하다. 그러나 그녀들은 세상의 규칙이 아니라 태고적 원칙으로 무장하고 있다.
그녀들의 분노는 무질서, 혼돈으로 향한다. 또한 쉽게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들에 대해 별로 연민을 갖지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그녀들이 중심을 두는 것은 질서이자, 원칙인 것이다. 삶의 순환이라는 질서 속에 선과 악의 대립이라는 이원론은 있을 수 없다. 그러한 질서 속에서 악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대립과 파괴는 생성과 죽음이라는 삶의 흐름 속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요소이다. 이것이 아르테미스 여신의 힘이다.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남매의 공통점은 활쏘기에 능하다는 것이다. 아르테미스의 오빠 아폴론은 궁술(弓術)의 신이기도 하다. 아르테미스의 손에서도 활이 떨어질 날이 없다. 어느 정도냐 하면, 오비디우스가 ‘변신 이야기’에서, 아르테미스가 몸종 신녀들과 숲속에서 목욕하고 있는데 길잃은 사냥꾼 아크타이온이 그 욕장(浴場)으로 쑥 들어온 직후의 상황을 이렇게 그리고 있을 정도다.

“…기겁을 한 아르테미스는 엉겁결에 활을 찾느라고 몸종 신녀들 몸 사이를 더듬다가 그만 알몸을 아크타이온 앞에 드러내고 말았다.” 아크타이온에게 죄가 있다면,고개를 딴데로 돌리지 않은 죄밖에 없다. 그런데도 아르테미스는 물을 한 움큼 집어 아크타이온에게 뿌리면서 꾸짖는다.

“내 알몸을 봤다고 동네방네 떠들고 다닐 수 있겠거든 어디 한번 그래 보아라.” 바로 그 순간 머리에서는 사슴뿔이 솟아오르면서 아크타이온은 순식간에 사슴으로 전신(轉身)한다.

사슴으로 몸이 바뀐 아크타이온은,제 손으로 끌고 숲으로 들어온 사냥개 떼의 이빨에 물어뜯겨 목숨을 잃는다.

■월궁항아(月宮姮娥)

중국의 신화에서 월녀신(月女神)은 상희(商羲)다. 상희는 달을 12개 낳은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의 일신(日神)은, 처음에는 여럿이었다. 천제(天帝) 제준(帝俊)의 아내 희화(羲和)가 낳은 아들 10형제가 바로 중국의 일신이었다. 희화는 아들을 하나씩, 여섯마리의 용이 끄는 황금 마차에 태워 하늘을 돌게했는데 이것이 바로 태양이다. 그런데 아들들이 하나씩 하늘을 도는 것이 지겨워 한꺼번에 떠오르니,땅은 그 열기에 무서운 속도로 타들어갔다. 천제 제준이,한꺼번에 떠오른 10개의 태양을 그냥 둘 수 없어서 천신(天神)인 후예(后릟)와 항아(姮娥)부부를 인간으로 몸을 바꾸게 하고 땅으로 내려 보낸다. 후예는 명궁(名弓)이다.

후예는 땅으로 내려오자마자 10개의 태양을 향하여 활을 쏘아 하나씩 떨어뜨린다. 후예의 화살에 맞자 태양은 금빛 깃털을 날리며 떨어졌는데, 떨어진 것을 보니 태양이 아니라 다리가 셋인 금까마귀(삼족금오·三足金烏)였다. 후예는 태양을 하나만 남겨두고, 나머지 9개 모두를 쏘아 떨어뜨린다.

나는 후예의 신화를 읽을 때면 아폴론 및 헤라클레스 신화를 읽는 것으로 착각하고는 한다. 후예 이야기는, 아폴론 및 헤라클레스 이야기를 합성한 것과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흡사하다. 후예가 동정호(洞庭湖)에서 거대한 뱀 파사(巴蛇)의 목을 베는 장면은, 정확하게 아폴론이 왕뱀 퓌톤을 죽이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뒷날 월녀신이 되는 항아를 아내로 거느리고 활로써 한 세상을 풍미하는 후예의 모습은, 누이 아르테미스와 함께 활로써 한 세상을 풍미하는 아폴론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후예는, 역시 명궁인 헤라클레스와 너무나도 흡사하다. 후예가 태양을 향하여 활을 쏘는 장면은 정확하게, 성질 급한 헤라클레스가 더위를 참지 못하고 태양을 향하여 활을 겨누는 장면을, 후예가 민폐 자심한 괴물 멧돼지를 생포하는 대목은 정확하게 헤라클레스가 에뤼만토스산에서 민폐 자심한 멧돼지를 생포하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후예는, 미모의 유부녀를 넘보다가, 남편인 강의 신 하백(河伯)과 한판 싸움을 벌이게 된다. 그는 이 싸움에서 백룡(白龍)으로 둔갑한 하백의 한쪽 눈을 뽑아 버린다. 헤라클레스는 미녀 데이아네이라를 사이에 두고 강의 신 아켈로스와 겨룬다. 그는 이 싸움에서, 황소로 둔갑한 아켈로스의 뿔 한개를 뽑아 버린다. 후예는 곤륜산 서왕모(西王母)의 불사약을 지키던 머리 아홉개 달린 짐승 개명수(開明獸)를 죽인다. 헤라클레스는 머리 아홉개 달린 뱀 휘드라를 죽이고, 저승을 지키던 머리 셋 달린 개 케르베로스를 지상으로 끌고 나온다.

후예는 불사약을 얻어 인간 세상으로 돌아온다. 비록 인간으로 살고 있기는 하지만 원래 천신이었던 후예와 항아는 이제 둘 다 다시 불사신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는다. 항아가 혼자 불사약을 깡그리 마시고 승천하여 달로 올라가 월궁항아(月宮姮娥)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월녀신 상희는 이 항아와 동일시 된다.

헤라클레스가,아내에게 독살당하기 직전,스스로 화장단을 쌓고 그 위로 올라감으로써 비참한 최후를 준비하고는 화장단에다 불을 붙여준 필록테테스에게 활과 화살로써 사례하고는 세상을 떠난다. 아내에게 배신당하고 방황하던 후예는 스스로 활쏘기를 가르친 제자 봉몽(逢蒙)의 몽둥이에 마침내 맞아 죽는다.

놀라운 것은 이 봉몽이 바로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朱蒙)이라는 것이다. ‘중국신화전설’의 한국어판 역자 전인초교수가 중국인 양관(楊寬)이 ‘중국 상고사 도론(中國 上古史 導論)’에서 했던 주장을 인용하면서, ‘구체적으로 검증되어 있지 않다’는 토를 달고 있기는 하다.

■달, 초승달, 그리고 활
월궁항아는 음험하고 아르테미스는 표독스럽다. 아르테미스는 올케 되는 키오네를 쏘아죽인 적이 있다. 키오네가 죽어야 마땅한 죄를 지은 것도 아니었다. 오라버니 아폴론의 아들을 낳고는 우쭐해진 나머지,‘아르테미스는 자식도 못 낳는 여신’이라고 한 죄밖에 없다. 거인 오리온은, 아르테미스에게 음심(淫心)을 품었다는 허물 때문에, 아르테미스가 불러낸 전갈에 발 뒤축을 물려 죽었다.

아르테미스의 신격(神格)은 차고 기우는 달의 여러 측면을 아우른다. 실제로 아르테미스에게는 이런 국면에 어울리는 이름이 있다. 만월로 떠있을 때는 ‘설레네’다. ‘빛’이다. 땅에 있을 때는,우리 눈에 익은, 활 들고 화살통 멘 아르테미스가 된다. 하지만 기울어 땅밑 어둠으로 사라졌을 때는 ‘헤카테’로 불린다. ‘멀리 있는 빛’이다. 헤카테는, 해가 져야 움직이는 저승 신, 혹은 지신(地神)계열의 여신이다. 헤카테의 별명은 ‘네거리의 아르테미스’다. 달과 활… 이 사이에, 그리스의 한 처녀가 ‘달거리 여신’이라고 불렀던 아르테미스가 있다. 초승달 보고 지어내는 활 이야기, 이것이 바로 동서양이 다를 것이 없는 신화다.

(이윤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31
제목 작성자
비중격만곡증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신체질환들에서 나타나는 정신증상 H 울산의사회
탈모의 진단과 치료법 H 울산의사회
아르테미스 이야기 2 H 이복근
사회 불안증/ 병인가 수줍음이나 소심함의문제인가? H 울산의사회
알레르기 비염 H 울산의사회
인공관절 성형술 H 울산의사회
초청기획전시「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초대展」 H 이복근
아르테미스 이야기 H 이복근
알레르기 비염 H 울산의사회
소아질환과 예방 H 울산의사회
장마철 피부관리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인두신경증(인두 종괴감)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H 울산의사회
'만성기침'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과민성 방광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기미, 주근깨, 검버섯 H 울산의사회
다한증의 증상과 치료법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피부에 번지는 백색공포 - 백반증 H 울산의사회
부비동염(축농증) 진단과 치료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