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 City]안면신경마비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47.184)
[Health & City]안면신경마비 
안구건조증 유발 시력 잃을수도
안면근육훈련 특수물리치료 도움
영구적 마비땐 수술로 재활 시도



Q. 안면신경마비 검사는?

A. 두경부와 귀의 진찰을 마친 후에는 여러 가지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는데 가장 흔한 검사들은 청력 검사, 전정기능검사, 눈물검사, CT 또는 MRI, 안면신경에 대한 전기적 검사 등이 있다. 환자가 가장 많이 하는 질문 3가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언제 회복되는가’ ‘초기에 어떤 치료를 해야 가장 잘 회복되는가’ 등이 있다.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의사는 원인과 안면신경의 어느 부분이 손상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철저한 검사를 해야 하며, 이는 가장 좋은 치료법을 이끌어 내기 위해 필수적이다.



Q. 안면신경마비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은?

A. 안면신경이 마비됐다면 건강한 눈을 유지하기 위해 눈물을 항상 흐르게 하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눈물은 눈을 깜박거림으로 인해 눈에 골고루 퍼지게 되는데 안면신경 마비에서는 눈 깜박거림이 감소하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눈 깜박거림의 감소와 눈물의 감소는 협동적으로 안구표면의 눈물 양을 감소시켜 안구 건조, 표면미란, 각막의 궤양 형성을 가져오며 심하면 시력 소실까지 생길 수 있다. 손가락으로 눈을 감는 것은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보안경이나 깨끗한 반창고도 안구의 수분유지를 위하거나 이물질이 눈으로 들어감을 방지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눈이 건조하면 인공누액을 사용해 촉촉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Q. 안면신경마비 치료는?

A. 진단적 검사의 결과에 따라 치료법이 좌우된다. 만약 염증이 원인이라면 항생제(중이염),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Ramsay Hunt 증후군)를 사용하게 된다. 만약 단순히 안면신경이 부어 있는 경우라면 스테로이드가 종종 처방된다. 특별한 경우에는 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골관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영구적인 안면마비가 있으면 다양한 수술적 방법으로 재활을 시도해 볼 수 있는데, 눈꺼풀에 삽입하는 무거운 물질이나 스프링, 근육 전위술, 신경 이식술이 있다. 일부 환자는 안면근육 훈련이라는 특수한 물리 치료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안면근육의 과도한 동작이나 근경축같은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과도 흥분된 근육을 외과적으로 절제하거나 화학물질의 주사로 약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방법이 필요하다면 의사 상담이 필요하다. 안면신경의 마비는 드물지 않으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일어난다.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가능한 안면신경 기능의 최선의 회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영구적인 마비가 있는 환자라도 안면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외과적 수술로써 어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본 자료는 경상일보 2009. 6. 23(화) 14면에 울산광역시의사회 제공으로 게재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33
제목 작성자
울산볼런티어오케스트라 제6회 정기연주회 H 이복근
뇌졸중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감기 H 울산의사회
전립선암의 극복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알코올과 피부미용 H 울산의사회
알코올의존 (Alcohol intoxication) H 울산의사회
부종 진단과 치료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불면증의 치료 H 울산의사회
■ 건강생활 Q&A-허혈성 심장질환 H 울산의사회
4기 전통 흙집짓기 시민대학 강사진 보강 H 이복근
알레르기 질환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안면신경마비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유행성 결막염 H 울산의사회
강박증 H 울산의사회
봄을 준비하는 피부관리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디스크환자 80~90%는 비수술요법으로 호전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다한증의 증상과 치료법 H 울산의사회
고혈압과 협심증에 대하여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불안장애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