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 City] 감기
작성자 울산의사회 (121.♡.247.39)
[Health & City] 감기
감기 잦고 증상 오래 가면 알레르기질환 의심
 


Q. 요즘 엄마들 중에 우리 아이는 일년 내내 감기를 달고 산다고 하는 엄마들이 많다. 왜 그런가?

A. 그런 경우를 우리 주위에서 종종 볼 수 있다. 통계에 의하면 정상적인 어린이가 일년에 걸리는 감기의 횟수는 보통 6~8회 정도. 그러나 통계치보다 훨씬 더 감기를 앓는 횟수가 많고 기간도 길기 때문에 이런 말이 나오는 것 같다. 그것이 진짜 감기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질환 때문에 그런 것인지 감별 해 줄 필요가 있다.



Q. 그러면 이런 경우 어떤 것을 생각해야 하나?

A. 대표적인 것으로 알레르기 질환이 있다. 즉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영아 천식 혹은 알레르기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만성 부비동염을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아이들의 영양 상태나 위생 상태가 예전에 비해 많이 좋아져서 감염성 질환은 줄어든 반면 오히려 알레르기 질환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Q. 그렇다면 아이가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

A. 그것은 자주 가던 병원의 의사가 가장 잘 알고 있다. 왜냐하면 알레르기성 질환은 자주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기 때문이다. 또 알레르기성 질환은 가족력의 영향이 크다. 영아기때 보통 태열이라 부르는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경우가 많은데, 성장하면서 쌕쌕거리는 천명을 동반하는 모세기관지염을 앓게되고 이후 영아천식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이것을 보통 알레르기 행진이라 부른다. 이런 것은 문진을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주 가던 병원의 의사가 잘 아는 것이다. 그 외 알레르기 진단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는 혈액검사, 피부반응검사 등이 있다.



Q. 그렇다면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

A. 그것이 생각보다 간단하지는 않다. 원래 알레르기 질환이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감염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치료가 쉽지는 않다. 원래 알레르기 치료 목표는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삶의 질을 높여 주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 아이가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을 하고 알레르기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하면 많이 좋아 질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자료는 경상일보 2008. 10. 8(수) 14면에 울산광역시의사회 제공으로 게재 된 건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39
제목 작성자
"비가오나 눈이오나 3년간 한결같이 동네청소" H 이복근
환절기 코막힘과 콧물 H 울산의사회
켈로이드 H 울산의사회
10월 가을축제 풍성...오늘 시민의날·처용문화제 전야제 H 이복근
"생명나눔운동 널리 퍼졌으면" H 이복근
알코올 의존(중독) H 울산의사회
문화제로 꾸민 사회공헌 H 이복근
깊어가는 가을 전시회 속으로 H 이복근
45세 이상 1/3 ‘골관절염’…체중 5kg 줄여도 증상빈도 절반 H 이복근
이명 H 울산의사회
환절기 코막힘과 콧물 H 울산의사회
피부감기로 불리는 장미색 비강진 H 울산의사회
선한사마리안법과 응급처치교육의 필요성 H 울산의사회
[山.山그리고 삶]눈 가는 골 발 닿는 봉마다 명승 '삼남의 금강산' H 이복근
[다시 찾는 울산 문화유산]운치 있는 정자 오르니 시 한 수 절로 H 이복근
뮤지컬 <달고나> H 이복근
제8회 사랑나누기 한여름밤의 음악회 H 이복근
비후성비염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암 H 울산의사회
[Health & City] 감기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