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피부로 ‘만능세포’ 배양 성공
작성자 이복근 (211.♡.20.237)
200711220115.jpg

美-日 연구팀 발표… 줄기세포 윤리논쟁 해소

일본과 미국의 연구팀이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갖가지 장기와 조직 세포로 성장하는 능력을 가진 ‘만능세포(iPS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일본 교토(京都)대 야마나카 신야(山中伸미) 교수 연구팀은 30대 백인 여성의 얼굴에서 채취한 피부세포에 바이러스를 이용해 4가지 유전자를 집어넣고 한 달간 배양한 결과 인간줄기세포와 같은 기능을 가진 세포가 탄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 과학잡지 ‘셀’ 인터넷판에 21일 게재됐다.


미국 위스콘신대 제임스 톰슨 교수팀도 아기의 피부에서 얻은 세포를 이용해 일본 연구팀과 같은 ‘만능세포’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으며 연구 결과는 21일 미 과학잡지 ‘사이언스’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배아줄기(ES) 세포와는 달리 배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윤리적 비판을 피할 수 있다. 6년 전 인간배아세포 연구를 반대했던 미 백악관이 이번 연구결과를 환영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배아에 비해 많은 양의 ‘만능세포’를 얻을 수 있어 줄기세포 연구에서 획기적인 진전으로 평가된다.


특히 환자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만능세포를 이용해 이식에 필요한 세포를 배양하면 거부반응 없는 세포나 다른 장기를 구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다.


양국 연구팀이 이번에 사용한 방법은 피부세포를 추출한 후 세포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를 주입해 세포의 염색체를 ‘재프로그래밍’한 것이 핵심이다. 즉, 이미 성장한 세포에 조작된 유전자를 주입하면 세포가 마치 배아줄기세포처럼 세포 생성 초기의 ‘만능세포’ 단계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만능세포 단계’로 되돌려진 세포는 배양을 통해 인체의 다양한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며 나아가 이식용 심장근육이나 신경, 연골 등의 조직을 얻을 수도 있다.


일본 연구진은 몇 년 이내에 이 같은 임상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전했다.


다만 양국 연구팀이 조작된 유전자를 세포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바이러스가 정상 세포를 돌연변이시켜 암을 유발할 수도 있어 이 같은 안전성 문제 해결이 과제다.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12 개, 페이지 57
제목 작성자
‘통신 유토피아’서 ‘국방과학’까지 최고기술 100가지 H 이복근
편견의 벽 허문 더불어 사는 세상 H 이복근
"조합원 동의없는 파업 안된다" H 이복근
울산과기대 총장후보 12명 추천 H 이복근
달집태우며 행복도시 울산 소망 H 이복근
선율과 명암의 조화 유쾌한 음악동화 H 이복근
하늘 날으는 인류의 꿈 집합소 H 이복근
제8회 사랑나누기 한여름밤의 음악회 H 이복근
"암환자·암사망자수 매년 1%씩 는다" H 이복근
노년기의 우울증 H 이복근
"가을 국화 구경하세요" H 이복근
[Health & City]주름살 H 울산의사회
[사설]장기기증 서약 6217명, 그들이 자랑스럽다 H 이복근
왈츠가 심장병 회복 운동으로 좋다 H 이복근
상상하는 대로… 꿈꾸는 대로… H 이복근
[행복한 가정 아름다운 울산]오늘은 어린이가 행복해지는 날 H 이복근
'목도리녀' 아버지도 홀로사는 노인 돌봐 H 이복근
[건강생활Q&A]-새치의 원인과 올바른 염색법 H 울산의사회
나윤선&울프바케니우스 듀오콘서트 H 이복근
건강생활 Q&A-비만 탈출 H 울산의사회
게시물 검색